Python 문법 정리


주석

#

타입

int, float, NaN, Inf type(변수) 로 확인 가능

17 // 3 —> 5 몫 17 % 3 —> 2 나머지

5 ** 2 —> 5 제곱

변수 선언

a, b = 0, 1 한꺼번에 변수 선언

문자열

“”, ‘’ “”" 여러줄 “”" 줄바꿈 안되게 하려면 \ 추가

\n : 줄바꿈 print()로 출력할 때 줄바꿈 print(r"some\name") r을 붙여서 raw 문장이라고 지정하면 이스케이핑 되지 않는다. 줄바꿈 안 된다.

배열처럼 문자하나하나에 접근가능 word = “Python” word[0] —> ‘P’ word[-1] —> ‘n’ word[2:4] —> ‘th’ 변경은 안 된다. word[2] = ‘x’ —> 에러남

len(word) —> 6 문자열 길이 반환 함수

문자열 내에서 치환

“2020.10.23”.replace(“.”, “-”)

문자열 포맷팅

“내 이름은 %s입니다” % “홍길동” %d, %f 가능 “%d, %f, %s” % (1, 1, 2, “국어”)

%20s 전체 20칸을 차지하는 문자열(공백을 앞에 붙인다.)

%-10d 전체 10칸을 차지하는 숫자(공백을 뒤에 붙인다.)

%.5f 부동소수점의 소수점 아래 5자리까지 표시

“{2}의 {0} 점수는 {1}점입니다. {1}점! {1}점!”.format(“수학”, 100, “철수”)

“{a}점수: {x}점, {b}점수: {y}점”.format(a=“영어”, b=“수학”, x=100, y=90)

List

squares = [1, 4, 9, 16, 25] squares[0] —> 1 squares[-3:] —> [9,16,25] 인덱싱, 슬라이싱 가능

squares.append(36)

len(squares) —> 길이 반환

c = list(range(1, 10))

del x[1]

x[0:3] 인덱스 0부터 인덱스 3-1, 즉 2까지 값

dictionary

dic = {‘math’:90, ‘english’:80} 키로 문자열뿐 아니라, 숫자도 된다.

접근 dic[‘math’], dic[‘english’]

range(10)
# 0~9 까지 10개


조건문

if a % 2 == 0: print(a) elif a == 1: print(a) else: print(a)

반복문

for i in range(10): print(i)

0…9 까지 출력

for n in range(10)
   print(n)
   pass
print("done")

a,b = 0, 1 while a < 10: print(a) a, b = b, a+b

range

range(10) 0~9 range(1,10) 1~9 range(1, 10, 3) -> 1, 4, 7

숫자를 문자열로

str(i)

십진수를 2진수문자열로 변환

bin(10)

실수를 정수로

int(1.0) int(1.1) -> 1 소수점 아래를 버린다.

정수를 실수로

float(1)

함수

def avg(x, y):
   a = (x + y) / 2.0
   return a

z = 100 def 함수이름(인자): global z z = 99 … return 결과값

람다함수

def f(x): return 2 * x 람다 함수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. f = lambda x : 2 * x f(2)

클래스

class Dog:
   def __init__(self, petname, temp)
      self.name = petname
      self.temperature = temp

      
   def bark(self):
      print("Woof")
      pass

   pass

# 사용 예
sizzle = Dog()
sizzle.bark()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